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장마철 옷/빨래 관리.

by JoAn Healing 2020. 8. 11.

---옷/빨래 관리 요령----

세탁을 해도 실내에서는 잘 건조되지 않아 옷에서 눅눅한 냄새가 나거난 곰팡이, 세균, 습기, 장마철 빨래와 옷 관리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하기.

장마철 밀폐된 옷장은 눅눅한 습기로 가득 찬다. 그대로 두면 곰팡이나 세균이 쉽게 번식하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옷을 보관할 때는 습기에 강한 무명, 합성섬유를 제일 아래, 모직 섬유는 중간, 비단 등 견직물은 맨 위에 올리면 옷감 손상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습기 제거를 위해서는 옷장 안에 신문지를 깔아 놓거나 말린 녹차 잎, , 숯 등을 놓아둔다. 23일 마다 환기를 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오염된 옷에 피는 곰팡이 역시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세탁을 하지 않고 옷장에 넣어두면 산화 작용으로 인해 곰팡이가 피어 옷감이 상하므로 반드시 세탁 후 옷장에 넣는다. 세탁소에서 가져온 옷의 경우 비닐을 벗겨 그늘에서 건조한 뒤 옷장에 넣어야 한다. 옷걸이에 걸어둔 옷들은 그 틈을 넉넉하게 해주고, 햇볕이 들고 바람이 부는 날은 옷장을 열어 자주 통풍을 시킨다. 장마철에는 옷을 상하게 하는 좀벌레가 활동하기에 최적기이다. 5070%% 습기와 2530도 온도가 갖춰지면 활동과 번식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옷장 안에 좀벌레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라벤더 말린 잎을 솜에 쌓아 넣어 두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라벤더나 로즈마리 등 향기가 나는 허브 식물의 말린 잎은 특유의 향으로 벌레를 쫓아내는 방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담배 가루도 대신 쓸 수 있다장마철 빨래의 눅눅한 냄새는 빨래 마지막 헹굼 물에 식초를 한 스푼 넣는 것으로 해결 할 수 있다. 식초의 양은 물 한 대야에 한 찻숟가락 정도면 된다. 또한 탈수 직전에 따뜻한 물을 조금 부으면 빨래 온도가 높아지면서 수분이 증발해 빨리 마른다. 따뜻한 물이 닿으면 옷이 줄어드는 울, 모 소재나 니트류는 피한다. 빨래의 양에 따라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한데 물의 양이 빨래의 30%정도가 되도록 한다. 두꺼운 옷이나 장식이 많이 달린 옷은 탈수를 해도 물기가 남아 잘 마르지 않는다. 이때는 타월 사이에 빨래를 끼워 바닥에 놓고 손바닥으로 눌러 남은 물기를 빼거나 타월 속에 옷을 넣고 돌돌 말아 물기를 없앤 후 건조시키면 옷 모양도 변하지 않고 빨리 말릴 수 있다.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에 도움되는 토마토 요리  (0) 2020.08.13
ナツメの効能  (0) 2020.08.13
장마철 PC/노트북 관리.  (0) 2020.08.11
옷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물?  (0) 2020.08.09
장마철 전기, 화재 안전사고  (0) 2020.08.09

댓글